[Elasticsearch] Metrics Aggregations 집계 정리
Elasticsearch Aggregations, 집계
Elasticsearch 는 검색뿐 아니라 여러가지 연산을 할 수 있는 Aggregation 기능이 있다. Kibana에서 차트,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시킬 때 사용하는 기능이 aggregation 이다.
aggregations 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Metrics aggregation : 숫자 또는 날짜 필드의 값으로 계산함
- Bucket aggregation : 범위나 keyword 값으로 그룹화함
그리고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aggregations 도 있다.
- Sub-aggregation : bucket 하위 집계
- Pipeline-aggregation : metrics aggregation 결과로 다시 집계
이 포스팅에서는 Metrics-aggregation 에 대한 개념 설명 및 실습 예제를 다룬다.
** 아래 실습에서 사용된 도큐먼트 데이터 입력은 metrics aggregations 참조
Metrics aggregation
Metrics aggregation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min, max, sum, avg 등이 있다.
min : 최소값
max : 최대값
sum : 합
avg : 평균값
aggregation을 실습해볼 12개의 도큐먼트 넣어주면서 index 생성
PUT stations/_bulk
{"index": {"_id": 1}}
{"date": "2022-12-25", "line": "1호선", "station": "잠실", "passangers": 1000}
{"index": {"_id": 2}}
{"date": "2022-12-26", "line": "2호선", "station": "잠실새내", "passangers": 1000}
{"index": {"_id": 3}}
{"date": "2022-12-27", "line": "3호선", "station": "잠실", "passangers": 1000}
{"index": {"_id": 4}}
{"date": "2022-12-31", "line": "2호선", "station": "가락시장", "passangers": 2000}
{"index": {"_id": 5}}
{"date": "2023-01-01", "line": "1호선", "station": "잠실새내", "passangers": 2000}
{"index": {"_id": 6}}
{"date": "2023-02-10", "line": "2호선", "station": "가락시장", "passangers": 2000}
{"index": {"_id": 7}}
{"date": "2023-04-23", "line": "3호선", "station": "가락시장", "passangers": 2000}
{"index": {"_id": 8}}
{"date": "2023-09-22", "line": "1호선", "station": "잠실", "passangers": 3000}
{"index": {"_id": 9}}
{"date": "2023-10-25", "line": "3호선", "station": "잠실", "passangers": 3000}
{"index": {"_id": 10}}
{"date": "2023-10-17", "line": "2호선", "station": "잠실새내", "passangers": 3000}
{"index": {"_id": 11}}
{"date": "2023-11-04", "line": "1호선", "station": "잠실", "passangers": 3000}
{"index": {"_id": 12}}
{"date": "2023-12-11", "line": "3호선", "station": "가락시장", "passangers": 3000}
min, max, sum, avg 실습
GET stations/_search
{
"size": 0,
"aggs": {
"all_passangers": {
"sum": {
"field": "passangers"
}
}
}
}
"size": 0 을 안 넣게되면 모든 데이터가 매칭되어 나오는데 집계만 필요할 경우 size : 0으로 넣어서 hits되는 데이터가 아무것도 안나오게 하면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aggs": { "내가 정하는 필드명" { "계산할 수식(min or max or sum or avg)" { "field": "계산할 필드명" } } }
sum, min, max, avg 모두 적용해보기
GET stations/_search
{
"size": 0,
"aggs": {
"all_passangers": {
"sum": {
"field": "passangers"
}
},
"min_passangers": {
"min": {
"field": "passangers"
}
},
"max_passangers": {
"max": {
"field": "passangers"
}
},
"avg_passangers": {
"avg": {
"field": "passangers"
}
}
}
}
결과 :
{
"took" : 8,
"timed_out" : false,
"_shards" : {
"total" : 1,
"successful" : 1,
"skipped" : 0,
"failed" : 0
},
"hits" : {
"total" : {
"value" : 12,
"relation" : "eq"
},
"max_score" : null,
"hits" : [ ]
},
"aggregations" : {
"all_passangers" : {
"value" : 26000.0
},
"avg_passangers" : {
"value" : 2166.6666666666665
},
"max_passangers" : {
"value" : 3000.0
},
"min_passangers" : {
"value" : 1000.0
}
}
}
보통 검색 결과 데이터를 보여주는 "hits" (hits.hits X) 와 동일한 뎁스의 "aggregations" 라는 key가 생겼고 그 안에 집계 검색한 내용이 나온다.
Stats
min, max, sum, avg를 한 번에 보여주고 해당하는 도큐먼트들의 개수도 가져온다.
GET stations/_search
{
"size": 0,
"aggs": {
"station_passangers_stats": {
"stats": {
"field": "passangers"
}
}
}
}
min, max..를 넣어주는 부분에 stats를 넣어주면 결과 :
{
"took" : 7,
"timed_out" : false,
"_shards" : {
"total" : 1,
"successful" : 1,
"skipped" : 0,
"failed" : 0
},
"hits" : {
"total" : {
"value" : 12,
"relation" : "eq"
},
"max_score" : null,
"hits" : [ ]
},
"aggregations" : {
"station_passangers_stats" : {
"count" : 12,
"min" : 1000.0,
"max" : 3000.0,
"avg" : 2166.6666666666665,
"sum" : 26000.0
}
}
}
count : 아래 집계에 계산할 때 쓰인 도큐먼트 수를 보여준다. hits에 이 도큐먼트들이 안나오는 이유는 검색 query에 도큐먼트는 0개 보여줘 라고 요청했기 때문이다.
Cardinality
필드의 값의 집합 (종류)를 알아볼 때 사용하는 cardinality
일반적으로 text 필드보다 숫자 필드, keyword, ip 등 에서 사용한다. 사용자 접속 로그에서 ip 주소 필드를 가지고 접속한 유저 파악 시에 주로 사용된다.
위에서 입력한 station 데이터들 중 line 필드가 총 몇 종류가 있는지 계산해보기
GET stations/_search
{
"size": 0,
"aggs": {
"line_types": {
"cardinality": {
"field": "line.keyword"
}
}
}
}
"field": "line" 만으로 검색하면 에러가 난다.
결과 :
{
"took" : 14,
"timed_out" : false,
"_shards" : {
"total" : 1,
"successful" : 1,
"skipped" : 0,
"failed" : 0
},
"hits" : {
"total" : {
"value" : 12,
"relation" : "eq"
},
"max_score" : null,
"hits" : [ ]
},
"aggregations" : {
"line_types" : {
"value" : 3
}
}
}
총 3개의 line 호선이 있는 걸 알 수 있다.
Percentiles, Percentile_ranks
값들을 백분위 별로 보는 방법
- percentiles : % 구간 별 값을 보기
- percentil_ranks : 값으로 그 값이 위치 해 있는 백분위 보기
percentiles
GET stations/_search
{
"size": 0,
"aggs": {
"passanger_percentiles": {
"percentiles": {
"field": "passangers"
}
}
}
}
결과 :
{
"took" : 10,
"timed_out" : false,
"_shards" : {
"total" : 1,
"successful" : 1,
"skipped" : 0,
"failed" : 0
},
"hits" : {
"total" : {
"value" : 12,
"relation" : "eq"
},
"max_score" : null,
"hits" : [ ]
},
"aggregations" : {
"passanger_percentiles" : {
"values" : {
"1.0" : 1000.0,
"5.0" : 1000.0,
"25.0" : 1500.0,
"50.0" : 2000.0,
"75.0" : 3000.0,
"95.0" : 3000.0,
"99.0" : 3000.0
}
}
}
}
디폴트로 1,5,25,50,75,95,99% 구간에 위치 해 있는 값들을 표시해 준다. 구간을 커스텀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옵션을 주면 된다.
GET stations/_search
{
"size": 0,
"aggs": {
"passanger_percentiles": {
"percentiles": {
"field": "passangers",
"percents": [0,1,50,99,100]
}
}
}
}
결과 :
"aggregations" : {
"passanger_percentiles" : {
"values" : {
"0.0" : 1000.0,
"1.0" : 1000.0,
"50.0" : 2000.0,
"99.0" : 3000.0,
"100.0" : 3000.0
}
}
}
percentile_ranks
GET stations/_search
{
"size": 0,
"aggs": {
"passanger_percentile_ranks": {
"percentile_ranks": {
"field": "passangers",
"values": [1000,2000,3000]
}
}
}
}
결과 :
"aggregations" : {
"passanger_percentile_ranks" : {
"values" : {
"1000.0" : 16.666666666666664,
"2000.0" : 50.0,
"3000.0" : 100.0
}
}
}
1000,2000,3000 값이 위치한 백분위가 나온다. 위의 방식은 성적이 상위 몇%인지 파악할 때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가 metrics aggregations이고 이제 다음에 볼 bucket은 "버킷화" = 그룹화 개념이다.
Reference : https://esbook.kimjmin.net/08-aggreg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