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lasticsearch 검색 기능 중 한국어 형태소 분석을 위해 elasticsearch에서 공식적으로 개발한 nori 설치 및 사용해보기
1. nori 설치하기
elasticsearch가 설치된 bin으로 가서 설치한다.
elasticsearch-plugin install analysis-nori
elasticsearch가 어디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한다.
which elasticsearch
2. elasticsearch 재시작
brew services restart elastic/tap/elasticsearch-full
3. Kibana Dev Tools 에서 _analyze 로 실습해보기
Nori는 nori_tokenizer 토크나이저와 nori_part_of_speech, nori_readingform 토큰 필터를 제공한다.
3-1) tokenizer를 "standard"로 한 경우 - 띄어쓰기로만 구분한다.
3-2) tokenizer를 "nori_tokenizer"로 한 경우 - 형태소 분석을 한다.
4. 터미널에서 실습
curl -XPOST "http://localhost:9200/_analyze?pretty" -H'Content-Type:application/json' -d '{"tokenizer":"nori_tokenizer", "text":"서울에 우리집은 없다,,"}'
ElasticSearch Nori 형태소 분석기 사용해보기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ElasticSearch에 대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검색엔진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고 형태소 분석을 통한 검색을 하깅 위해 nori라는 플러그인을
velog.io
반응형
'Elastic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search] 엘라스틱서치 관련도 score가 결정되는 방법 (0) | 2022.05.23 |
---|---|
[Elasticsearch] node.js search 검색 사용법 / parameters / options (0) | 2022.04.21 |
[Elasticsearch] scoring _score field 점수매기는 프로세스 (0) | 2022.04.19 |
docker compose ELK 설치하려다가 실패한 글 (0) | 2022.04.18 |
[Elasticsearch] dynamic : true / false / runtime / strict 알아보기 (0) | 2022.04.15 |